밤에 잘때 기침이 심한 이유와 낫는 법

아침과 낮에 생활 할 때에는 하지 않던 기침을 밤 시간에 들어서, 특히 잘 때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달라진건 늦어진 시간 밖에 없는 것 같은데, 유독 심해진 기침에 놀라실 수 있는데요. 밤에 잘때 기침이 심한 이유와 낫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침의 원인

먼저 기침이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공통적인 원인은,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침은 유해물질이 기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우리 몸 안에 있는 해로운 물질을 밖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생겨나는 면역반응인 것이죠. 어떤 유해물질을 없애기 위해 우리 몸이 기침이라는 행위로 애쓰고 있을까요?

잘 때 기침이 심한 이유는?

우리 몸 안에는 생체 시계가 존재합니다. 밤 시간에는 이에 맞추어 몸의 긴장이 이완되고, 연약해짐과 동시에 면역 시스템은 더욱 더 활발히 가동됩니다. 호흡기에 문제가 있으면 밤 시간에 면역 세포가 바이러스와 싸우면서 기침 같은 면역반응이 크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또, 밤에 잘 때 누운 자세로 인해 콧물이 목구멍으로 넘어가면, 우리 몸은 목구멍으로 넘어온 점액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하여 기침을 하는 것입니다.

후비루

콧물이 목으로 넘어가면서 발생하는 후비루가 기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염이나 감기, 축농증으로 인하여 콧물이 뒤로 넘어가는 증상이 있거나 걸걸한 가래가 낀 기침이 나온다면 후비루성 기침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두염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후두염이 생기면 기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후두염으로 인한 기침은 가래가 없고, 컹컹이는 기침 소리에 목이 쉬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숨쉬기 어려운 증상이 있고, 초기에 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위산과 음식물이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하면 기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늦은 야식을 먹고 얼마 지나지 않아 누워버리거나, 기름진 음식을 먹고 누우면 위와 식도를 연결해주는 괄약근이 느슨해지면서 식도가 자극되어 기침이 발생합니다.

천식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 염증으로 인하여 기관지가 협소해지는 천식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천식은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기침, 숨쉴 때 쌕쌕 거리는 소리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주로 밤이나 아침에 악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천식은 자가진단이 어려운 질환으로 호흡기내과에서 상세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잘 때 심해지는 기침 낫는 법

  1. 충분한 물을 섭취하면 점액이 묽어지고 목구멍으로 넘어가도 기침이 덜할 수 있습니다.
  2. 콧물이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베개 높이를 높입니다.
  3. 꿀을 1-2티스푼 먹으면 상기도 감염으로 인한 기침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4. 잠 잘 때는 창문을 꼭 닫고, 웃풍과 외풍을 피하여 냉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5. 50% 이상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고, 공기청정기를 돌려 청정한 공기질을 유지하는 등 호흡기를 편안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6. 잠 자기 최소 2시간 전에는 식사를 마칩니다.

밤에 잘때 기침이 심한 이유는 후비루성 기침, 후두염, 역류성 식도염, 천식 등이 있습니다. 기관지에 있는 염증을 없애고 밤 늦게까지 야식을 먹고 눕는 자세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밤에 잘때 기침이 심한 이유와 낫는 법”에 대한 1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