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민생회복지원금 이마트 사용 가능? 대형마트 vs 임대 매장 정리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이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 이마트 사용 가능 여부, 조건, 대안까지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 이마트 사용 가능할까?

  • 이마트는 대형마트로 분류되어 있어 사용이 불가합니다.
    정책상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등은 쿠폰 사용처에서 원칙적으로 제외됩니다.
  • 과거 긴급재난지원금 사례에서도 이마트 노브랜드 등은 제외됐고, 이미 대형마트 매출 하락 방지를 위한 선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마트 대신 어디에서 사용하면 좋을까?

  • 이마트 내 입점한 임대형 소상공인 매장(예: 미용실·안경점·식당)에서는
    연 매출 30억 이하, 쿠폰 스티커 부착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사용 가능처:
    • 전통시장, 동네마트, 약국, 음식점, 미용실 등 실내 소상공인 매장
    • 편의점 (가맹점 기준)
    • 택시·학원·서비스 업종 등

사용 조건 – 꼭 알아두세요

  • 사업장 규모: 연 매출 30억 원 이하
  • 운영 구조: 직영점 × / 가맹·임대 소상공인인 경우 O
  • 결제 수단:
    • 카드형(신용·체크·선불) 쿠폰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 오프라인 카드 단말기 직접 결제만 가능

확인 팁 – 방문 전 이렇게 체크하세요

  1. 매장 입구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스티커 부착 확인
  2. 직원에게 매출 규모·가맹 여부 직접 문의
  3. 키오스크·온라인 결제는 사용 불가, 카드 단말기 직접 결제만 적용

사용 제한 업종 정리

  • ❌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및 SSM
  • ❌ 백화점, 면세점,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 ❌ 이커머스·배달앱·자동판매기 등 비대면 결제업체

사용 기간 및 금액

  • 사용 기한: 지급일로부터 2025년 11월 30일까지, 소멸 주의
  • 지급 금액:
    • 1차: 기본 15만 원 + 지역 추가(수도권 제외 3만·농어촌 추가 5만 가능)
    • 2차: 소득 하위 90% 대상 10만 원 추가 → 기본 25만 원, 조건부 최대 55만 원

요약 정리

항목내용
사용 가능 매장이마트 내 소상공인 임대 매장 (매출·스티커 기준 충족 시)
사용 불가 매장이마트 직영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사용 수단카드형 또는 지역상품권 쿠폰
결제 방식오프라인 카드 단말기 결제
사용 기한2025년 11월 30일까지
최대 수령25만 원 (조건부 최대 55만 원)

마무리

민생회복지원금 이마트 사용은 직영 대형마트에서는 불가하지만, 이마트 내 소상공인 임대 매장(예: 안경점, 미용실 등)에서는 가능할 수 있습니다.
방문 전에는 스티커와 매장 규모 확인을 꼭 하시고, 2025년 11월 30일 이전에 알차게 사용하세요!

댓글 남기기